손목시계는 오토매틱과 쿼츠로 구분된다.

 

● 오토매틱 : 태엽시계. 배터리없이 보통은 손목에 차고 다니면 흔들리면서 자동으로 태엽이 감기는 방식

● 쿼츠 :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식

 

오토매틱 고려할시 반드시 고려해봐야 할 것이 파워리저브이다. 오토매틱의 파워리저브란 차고다니던 시계를 풀어 놓았을때 (자동으로 태엽 감김이 멈추면) 몇 시간이나 더 돌아갈까 하는 시간을 말한다. 

 

매일 손목에 차고 다니는 평일에는 상관없지만 주말 방콕족들이 주말에 시계를 풀어놓으면 태엽 감기는 것이 멈춰져서 시계도 멈추게 된다. 월요일 아침 멈춰진 시계는 정말 짜증이 아닐 수 없다.

 

예를 들어 오토매틱 시계는 파워리저브가 38h(38시간)이라면 금요일 저녁 퇴근해서 저녁8시에 시계를 풀어 놓으면 38시간 뒤인 일요일 아침 8시에는 시계가 딱 멈춰버린 다는 의미이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한번씩 흔들어 주거나 차고 있거나 태엽을 감아주어야 한다. 말이 쉽지 인간이란 얼마나 귀차니즘의 노예인가. 오토매틱 입문때 흔히 디자인과 브랜드만 보고 구매하다 놓치기 쉬운 점이다. 

 

 

추가로 세가지의 정보

 

1. 쿼츠를 사면 보통 1년에 한번정도 배터리를 갈게 되는데 시계방가면 1~2만원을 받는다. 도구를 사서 직접 가는 것을 추천하다. 반드시 도구를 사라(배터리 한번 가는 값에 시계 상처 안주고 힘안들이고 평생 아주 쉽게 갈수 있다. 뒷판도 그냥 여는게 있고 돌려서 여는게 있다. 그리고 그냥 여는 것도 닫을 때는 손으로 매우 매우 닫기 힘들다. 시계프레스가 필요한데 구해한다면 시계의 지름 사이즈에 맞는 걸 구매하라 - 유튜브를 먼저 한번 보고나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 뒷판을 열면 방수링이 들어있는데 고무가 아니다. 열고 닫을때 무리해서 변형이나 찍임이 생기면 닫기 힘들다. 주의해야함. 자신없으면 그냥 업체에 맡기세요!!

 

2. 정품 가죽줄 너모 비싸다. 개인 경험으로 알리에서 사는 것을 추천한다. 너무 싼건 빼고 2~3만원대로 1/10 가격에 정품이상의 품질을 경험했다. 시계줄 가는 것도 매우 매우 쉽다. 배터리가는법, 시계줄 바꾸는법은 유튜버에 너무들 잘 나와있다. 

 

3. 오토매틱 사용시 두 가지는 꼭 유의하라.

첫째, 태엽을 수동으로 감아줄때 절때 많이 감지말 것. 덕분에 무리가 와서 오버홀한 경험이 있다. 

둘째, 날짜 맞출때 저녁 10시 ~ 오전 4시 사이의 시간은 절대 피할 것. (이건 어떤 오토메틱 시계든 마찬가지이다). 

 

 

 

 

 

 

 

취득세 계산 

 

위텍스 공시 취득세율 계산식

 

하지만 위의 6~9억 구간의 취득세 계산 설명을 아무리 보아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 

6~9억 구간의 정확한 취득세율 공식은 다음과 같다. (단, 반올림하여 소숫점 4자리까지)

 

6억초과-9억이하 취득세율 계산식

 

● 네이버에 취득세 계산이라고 치면 위텍스에 취득세 계산이 나온다. 농지여부, 다주택 여부와 면적85㎡초과 여부에 따라 변동이 있다. 

 

과세표준

과세표준(과표)이란 세금을 부과하는 금액을 말한다. 이는 월급같은 소득세를 계산하거나 할때도 쓰이는 세금 정할때 공통으로 쓰이는 용어이니 상식적으로 알아두는 것이 좋다.

 

취득세의 경우 취득가격이 과표가 되나 예를 들어 양도세의 경우 과표는 매도가격이 아닌 취득가액과 매도가격의 차액이 된다. 1억에 사서 1억에 팔면 양도세가 없다는 말이다. 1억에 사서 2억에 팔면 1억을 벌었는데 그 1억이 과표가 되고 1억에 세금종류에 따라 정해진 세율 30%든 40%든 과세를 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과표를 정할때 공제액과 인정비용을 차감해 주는 경우도 있으니 그 것만 추가적으로 알면된다. 예를 들어 1억에 대한 어떤 세금의 세율이 10%, 기본공제 천만원이고 경비까지 인정(관련세금,법무사비용등-여기서는5백만썼다고가정)해준다하면, 정확한  과표는 (1억-공제천만원-경비5백만) 8천5백만원이되고 세율이 10%므로 세금이 850만원으로 정해지는 것이다. 

 

연말정산으로 생각하면 총급여에 가족공제과 카드값등 경비를 차감해준 과세표준금액이 정해지고 정해진 세율을 계산하여 세금이 정해지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 초보를 위한 이야기

너무 당연한 이야기지만 최근에 세법이 세분화 되고 양도세등 부담이 커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부동산을 취득하거나 분양권 매매할때 내가 몇년을 있다가 매매할 것인지, 그때 예상 차익은 얼마가 되는지 양도세는 얼마가 되는지 미리 시물레이션해보아야 한다. 빛내서 좀 있다 팔면 얼마벌겠네 했다가 세금내고 나면 이자도 못건지는 경우는 없어야 하지 않는가.  

 

 

 

 

필터 등급은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현재는 헤파13등급의 필터가 청정기 필터의 표준정도로 많이 사용되나 먼지가 많지 않은 경우 E11등급 이상의 필터도 어느정도 효과적이라고 한다. 사실 청정기 초기에는 E11 등급의 필터가 많이 사용되었다.

 

KF80의 경우 0.6㎛의 입자를 80%까지 차단. 감염차단효과없음

KF94의 경우 0.4㎛의 입자를 94%까지 차단. 감염차단효과있음

KF는 한국등급, N95는 미국등급으로  0.02~0.2㎛입자 분진효집효율95%로 치료 의료용으로 사용된다(보건복지부는 메르스당시 N95등급은 호흡곤란유발할 수있어 사용자제권고를 한 바 있다)  

 

표하단의 미세먼지의 크기와 별도로 통상적인 세균(박테리아)의 크기는 1~5㎛ 정도로 알려져 있고, 바이러스의 크기는 약 0.02~0.2㎛ 정도로 알려져 있다. 마스크의 경우 바이러스 자체를 막지는 못하나 비말을 차단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의 확율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가 있다.

 

집먼지 진드기 원인균 : 0.1~0.3㎛

포도상구균 박테라아 : 0.7㎛

코로나 바이러스 : 0.08㎛

(*박테리아(세균) ; 독립세포로 독자증식, 주로동일개체로번식, 크기커서세포침투힘듬, ex;곰팡이)   

(*바이러스 ; 세포가 아니라 숙주필요. 크기가 작아 세포는물론세포핵까지침투용이. 변이쉬움, ex; 코로나바이러스)

 

가정용과 달리 자동차 에어컨필터의 경우 검색을 해보면 현재 주로 PM2.5 필터가 주로 판매되고 있으며, 헤파13등급(PM0.3)은 가격이 다소 비싼것을 확인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