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본 유투브의 텐트에 내리는 빗소리만 들리는 우중캠핑에 왠지 힐링되는 듯한 느낌을 받아 정말 한 동안 관련 영상만 많이 봤다. 여자혼자 솔캠하는 걸 보면서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었고 오캠 솔캠 백패킹 까지 보면서 대리만족 느낌도 받으면서 캠핑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생겼고 고민끝에 장비를 검색하고 구매 리스트 작성까지 끝내 놓고서는 결국 보류하기로 했다.

몇가지 복합적 이유 였는데 가장 큰 이유는 두 가지였다.

첫째.  외로운 사람은 더 외롭게 느껴질 수 가 있다는 글을 읽고 나서 고민은 시작되었다. 이미 독거노인인 내게 과연 혼자만의 시간이, Man's cave 가 필요한가 였다.

둘째. 많은 사람들의 캠핑 영상들을 보면서 처음에 안보이던게 보이기 시작했는데 흔히 말하는 박지(텐트치는 곳)의 문제였다. 난 동계를 제외하고 미니멀캠핑에서 가벼운 백패킹까지가 장 내게 맞겠다 싶었는데 대한민국 산의 대부분은 화기를 소지하는 것 조차 불법이고, 주말외에 시간내기 힘든 내게 대다수가 선택하는 캠핑장들은 주말엔 예약조차 쉽지않은 도떼기 시장같고, 백패킹에서 박지로 선택하는 많은 장소들이 내겐 사람들 눈치를 봐야하는 아니 사실은 시간에 관계없이 텐트를 친다는 것이 민폐가 되는 장소가 아닌가 생각이 들어서였다. 

오롯이 혼자 조용히 보낼 수 있는 장소가 사실은 거의 없다는 것. 

근본적인 의문이 들기시작하자 감수할 수 있다고 느껴졌던 장비비용, 모기나 벌레문제등 이런 여러가지를 감수하고서 과연 지속적으로 후회없이 할만한 투자인가 하는 고민이 커져갔다. 

장비를 살 때 목적을 정하고 오래 고민하고 비교해서 나름 내게 맞겠다 싶은 좋은 장비에 투자해서 안바꾸고 오래오래 쓰는게 내 특성이라 장비들 리뷰들도 정말 많이 봤었다.

아웃도어장비들이 주는 로망들도 제법 컸는데 회의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자 유튜버들의 장비가 매번 바뀌는 걸 보니 아~ 저 양반들은 구독자들이 있고 장비를 투자하는 분들이구나하는 생각도 들고 처음에는 모두 정말 좋아서 시작하셨겟지만 과연 방송이 목적이 아닌 순수한 맘으로 저렇게 자주 가는 분이 얼마나 될까 싶기도 하고 내가 저분들처럼 장비 이것 저것 써가며 하다간 가랑이 찢어지겠다는 생각도 들고,

결국 유투버 영상들로 시작된 보기좋은 편집들에 의한 로망의 부채질과 내가 오래할 수 있는 취미일까라는 고민에서 답을 얻지 못하고 이런저런 이유로 보류하게 된 사유를 쓴 이유는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부가 함께하거나 캠핑에 함께 데려갈 수 있는 아이가 있으신 분들에게는 추억을 만드는데 이만한 취미는 없지 않을까 싶을만큼 정말 강추하고 싶은 취미이다.

참고로 백패킹을 하고계시거나 준비하시려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하지만 대부분 막연히 생각만하고 있는 법조항을 참고적으로 적어보았다.

 

자연공원법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4814&efYd=20190117#J27:0

 

제27조(금지행위)

① 누구든지 자연공원에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17. 12. 12.>

   6. 지정된 장소 밖에서의 야영행위

   7. 지정된 장소 밖에서의 주차행위

   8. 지정된 장소 밖에서의 취사행위

   9. 지정된 장소 밖에서 흡연행위

   10. 대피소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소ㆍ시설에서 음주행위

   12. 그 밖에 일반인의 자연공원 이용, 보전에 현저하게 지장을 주는 행위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행위

 

제86조(과태료)

②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5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 제27조제1항제6호를 위반하여 지정된 장소 밖에서 야영행위를 한 자

   2. 제28조제1항에 따라 제한되거나 금지된 지역에 출입하거나 차량 통행을 한 자

 

산림보호법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6655&efYd=20190716#0000

 

34(산불 예방을 위한 행위 제한)

누구든지 산림 또는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산림인접지역에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13. 3. 23.>

     1. 불을 피우거나 불을 가지고 들어가는 행위

     2. 담배를 피우거나 담배꽁초를 버리는 행위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경우 또는 지역에서는 제1항제1호의 행위를 할 수 있다. <개정 2013. 3. 23., 2014. 6. 3., 2016. 12. 27.>

     1. 산불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불이 탈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제거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로서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 또는 지방산림청장의 허가를 받은 경우

     2. 야영이 허가된 야영장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인 경우

③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 또는 지방산림청장은 제2항제1호에 따른 허가를 할 때 산불 예방에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을 조건으로 허가할 수 있으며, 허가를 받은 자는 불을 놓기 전에 인접한 산림의 소유자ㆍ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야 한다. <개정 2014. 6. 3.>

④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 또는 지방산림청장은 산불 예방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산림에 들어가는 사람이 화기(火器), 인화(引火) 물질 및 발화(發火) 물질을 지니는 것을 금지하여야 한다. <개정 2014. 6. 3.>

 

57(과태료)

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15. 2. 3.>

1. 16조제1호를 위반하여 산림에 오물이나 쓰레기를 버린 자

2. 34조제1항제1호를 위반하여 산림이나 산림인접지역에서 불을 피우거나 불을 가지고 들어간 자(같은 조 제2항의 허가를 받은 경우는 제외한다)

④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3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15. 2. 3.>

1. 34조제1항제2호를 위반하여 산림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담배꽁초를 버린 자

2. 34조제3항을 위반하여 인접한 산림의 소유자ㆍ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리지 아니하고 불을 놓은 자

3. 34조제4항의 금지명령을 위반하여 화기, 인화 물질, 발화 물질을 지니고 산에 들어간 자

⑤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2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15. 2. 3., 2018. 3. 20.>

1. 15조제3항에 따른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입산통제구역에 들어간 자(차량 통행을 한 자를 포함한다)

2. 16조제2호를 위반하여 산림행정관서에서 설치한 표지를 임의대로 옮기거나 더럽히거나 망가뜨리는 행위를 한 자

⑥ 제1항부터 제5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산림청장, 시ㆍ도지사, 시장ㆍ군수ㆍ구청장, 지방산림청장 또는 국유림관리소장이 부과ㆍ징수한다. <개정 2015. 2. 3.>

 

추가로 산림보호법시행령<개정 2019.07.02> 제23조제2항 관련 산불경보별조치기준에 따라 산불조심기간등에는 특별히 단속인원이 대폭 증가하므로 각별히 유의하셔야 합니다. 

역으로 국립,도립,군립공원과 지자체 산림청 지정고시된 지역, 산불조심기간이 아니면 화기 사용이 가능하다는 해석도 되나 일일이 어떻게 확인하냐고요.........

2명이상이 가면 한명만 대표로 아래 방식으로 술잔을 따르고 나머지 일행은 뒤에 서 있다 대표가 술을 올리고 나서 모두 다같이 절 한다. (기독교 등 꽃을 올리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대표만 꽃을 헌화 후 다 같이 묵념)

 

<술잔 올리는 방법>

※ 팩트 : 횟수는 3회, 방향은 정답이 없다(이유는 아래 설명). 단, 일반적으로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 순서 : 먼저 영정에 앞으로가 무릎을 꿇고 놓여진 잔받침과 술잔을 같이 잡아서 (오른손 술잔, 왼손 잔받침) 대충 가슴앞으로 가져오면 옆에 와있던 상주가 채워져 있던 술잔을 들고가 퇴주잔(술버리는그릇)에 술을 버리고 빈잔을 돌려준다(-혹시 상주가 안하고 있으면 본인이 술을 비우고 상주에게 새 술을 받는다. 아주 가끔 상주가 잘 몰라서 술을 안따라 주는 경우도 있으면 본인이 그냥 혼자 이 순서로 하면된다.) 이 빈잔에 상주가 따라주는 술을 받는 후 향 위에 세번 돌린후 술잔이 원래 놓여있던 자리에 다시 놓고 뒤로 물러나 절을 한다.

절은 영정에 두번후 반절, 몸을 돌려 상주와 한번후 반절을 하고 "상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등의 말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다. 보통 마지막 반절 후에 상주 중 지인이 같이 서있던 상주일행에게 누구누구 이십니다하고 소개해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

반시계 방향의 의미는 시간을 되돌리고 고인을 그리워 하는 마음

시계방향의 의미는 동서남북 춘하추동의 흐름대로 남기신 유훈을 받들고 후손들에게는 순리대로 집안을 이끌겠다는 마음을 의미한다고 한다.

입관 전 시간을 꺼꾸로 돌려고인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아 반시계방향으로,

입관 후 시간을 정상적으로 돌려 좋은 곳으로 가시라는 의미로 시계방향으로 돌린다고 하나,

보통 입관이 2일째 이루어지는 관례이나 (상가의 호실, 상주 표시에 입관여부도 같이 표시가 되어있다) 객의 입장에서는 애매하므로 순서는 상관없이 마음이 중요하겠으나 일반적 관례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돌리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겠다.

제사때는 당연히 시계방향이 될 것이다.

향 - 하늘의 기운, 술 - 땅의 기운

향 위로 술잔을 돌리는 것은 정화의 의식

술을 땅에 붓는 것은 땅으로 돌아간 조상의 기운을 불러들이는 의미

추가 상식으로 향은 1, 3, 5 홀수로 피우며 향에 붙은 불을 끌때는 손으로 흔들어 끄고 절대 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는다.

 

[펌] 드립의 전설. 짝남 상담 좀 해줘

http://huv.kr/pds780999

 

 

발단

 

 

후기

 

 

'희노애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방금 있었던 일. 샌들을 샀더니 전자발찌가 따라왔다...  (0) 2018.08.13
결정적 순간  (0) 2017.08.24
디스의 정석  (0) 2016.07.03
과속 금지  (0) 2015.08.06
언니 큰일났어  (0) 2015.08.06

[펌] 방금 있었던 일. 샌들을 샀더니 전자발찌가  따라왔다...

 

 

ㅋㅋ

'희노애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드립의 전설. 짝남 상담 좀 해줘  (0) 2018.08.13
결정적 순간  (0) 2017.08.24
디스의 정석  (0) 2016.07.03
과속 금지  (0) 2015.08.06
언니 큰일났어  (0) 2015.08.06

본 설명전 기초적 표시방법 안내 

① 맨 앞에 어퍼스트로피 '를 붙인다 -> 텍스트로 인식하여 모든 표시 가능

   예)  '-1233456   (표시->)  -123456

     단, + - 함수는 인식하나 SUM등의 함수에서는 텍스트셀을 인식못함

② 셀 서식에서 숫자에서 선택하는 법 - 가서 보면 눈으로 보고 선택 가능

 

위와 별개로 다음은 숫자와 -의 간격을 없애는 방법 및 -를 다른 기호로 표시하는 방법

 

위 선택 선택된 표시를 아래로 복사해 왔다. 붉은 * 에 주목 !!

_-* #,##0_-;-* #,##0_-;_-* "-"_-;_-@_-

 

1. 마이너스 표시와 숫자를 붙여서 표기하는 법

셀 오른쪽 클릭 하여 셀 서식을 선택하고 사용자 지정에 들어간다.

위 빨간 * (스페이스 반드시 포함)을 삭제한 후 확인을 클릭한다.

 

2. 마이너스 숫자를 다른 기호로 표시하는 법

위 빨간 *표시 바로 앞에 있는 -를 원하는 기호로 바꾼후 확인을 누르면 된다.

참고로 ㅁ ㄴ ㅇ ㄹ 등을 입력후 한자키를 누르면 다양한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셀 서식에서 *표시는 *뒤에 나오는 기호를 셀 넓이 만큼 채운다는 뜻인데 * (*스페이스)는 마이너스기호와 숫자간의 공백을 셀 넓이만큼 스페이스로 채우라는 의미이다.

 

 

 

방법1.

확장기를 컨센트에 꼽고 메인 공유기 WPS 버튼 누른 후 2분내 확장기 버튼을 누른다.

 

방법2.

확장기를 컨센트에 꼽고 메인 공유기와 확장기를 유선랜선으로 연결한다. 

이후 3번항 reset 이후와 동일 설정

 

방법3.

확장기를 컨센트에 꼽고 하단 reset버튼을 몇 초간 누르고 있으면 버튼 전체에 불이 반짝하고 들어왔나 희미해지는데 reset 된거임

-> 휴대폰 wifi 검색하여 새로운 와이파이가 잡혀야 한다. 여기로 접속 

-> 새로운 와이파이로 접속후 설정해줘야함!!   192.168.0.254 로 접속

-> 아이디 admin 비번 admin 접속

-> 기존 공유기 선택 -> 기존 비번과 똑 같이 비번 설정

-> SSID 이름 부여 (중요! 확장기에 wifi 이름 설정해 주는것. 기존과 다르게 설정할 것 !!)

 

나는 이름을 안바꿨더니 기존 메인 공유기와 충돌하는지 계속 에러가 나서 확장기 이름 바꿔주고 나서 빵빵하게 터지는 감동을 맛봤네요.

끝 !!

 

 

 

 

1952년 발간된 브레송의 사진집 <Images a la sauvette - 재빠른 이미지>

이 책 서문 쓰여진 레츠 추기경의 '이 세상에 결정적이지 않은 순간은 없다' 라는 문구가 곧 브레송의 상징이 되어 미국판 제목은 아예 결정적순간으로 출간이 되었다.

 

<생 라자르 역 뒤에서, 파리 1932>

생 라자르 역의 담벼락에 붙은 포스터 속 무영수의 포즈와 물웅덩이를 건너는 남자의 포즈가 기가 막히게 일치하는 순간의 포착한 브레송의 결정적 순간을 상징하는 사진

남자가 물웅덩이를 깡충 건너는 순간 널판지로 된 울타리 틈새로 손을 넣어 촬영했다. 심지어 공간이 좁고 불편해 뛰는 순간을 정확히 보지도 못한채 셔터를 눌렀다고 한다.

 

<브뤼셀, 벨기에 1932>

호기심과 체면, 선택의 순간을 포착

 

브레송은 노르망디 지역의 섬유재벌의 장남이였다. 어릴적부터 그림에 소질이 있었지만 가업을 위해 도전한 명문학교에 세번의 낙방의 고배를 마시자 아버지는 브레송이 하고 싶은 그림 공부를 허락했다고 한다.

그는 그림 공부 중 마틴 문카치(루마니아)의 탕가니카 호수의 세 소년이라는 사진을 보고 사진에 심취하게 된다.

 

<탕가니카 호수의 세 소년, 콩고 1930 - 마틴 문카치>


 

<브레송이 주로 사용했던 카메라의 전설, 라이카 M3>

 

그는 1931년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서부터 사진을 찍기시작하여 1933년 스페인을 취재하면서부터 전업 작가가 되었다. 

2차대전때 종군기자로 활동했으며 나치에게 포로로 잡히기도 하였다. 1944년 파리 해방과 함께 본격적인 저널리즘 기자가 된다. 

당시 그의 사르트르 등 인물사진 역시 큰 사랑을 받았는데 그가 찍은 간디의 초상은 특히 유명하다. 그 사진을 찍은 후 1시간뒤 간디가 암살당했기 때문이다. 이 사진을 계기로 그가 속해있던 보도사진가 그룹인 매그넘 역시 세상에 큰 주목을 받게된다.

<암살 1시간 전의 간디>

 

<카뮈>

 

<샤르트르>

 

말년에는 사진기를 내려 놓고 데생에 심취했다.

 

마지막으로 앙리 카르티에-브레송의 묘비명을 소개하며 마무리 하고자 한다.


"세월은 어김없이 흘러서 오직 우리의 죽음만이 붙잡을 수 있을 따름이다.

사진은 영원을 밝혀주는 바로 그 순간을 영원히 포획하는 단두대이다" 





'희노애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드립의 전설. 짝남 상담 좀 해줘  (0) 2018.08.13
[펌] 방금 있었던 일. 샌들을 샀더니 전자발찌가 따라왔다...  (0) 2018.08.13
디스의 정석  (0) 2016.07.03
과속 금지  (0) 2015.08.06
언니 큰일났어  (0) 2015.08.06

네이버 메일 기준 - 타사도 비슷한 걸로 .....

 

※ 네이버 블로그에서 글쓰기로 사진을 올린다.

※ 사진을 올린후 아래 HTML을 클릭해서 모두 복사를 한다.

 

 

 

※ 네이버 메일 좌측하단 맨아래 메뉴 - 환경설정 - 서명/빠른답장 설정 - 서명추가

※ 서명추가에 위 복사한 HTML 소스를 붙여넣기하면 끝.

※ 메일 보내기에서 명함이 첨부되는지 확인한 후 블로그 사진올리기 위해 작성중인 포스트는 삭제해도된다.

 

 

 

 

 

 

 

 

부산 지역의 이름을 달고 유명세를 파는 음식이 뭐가 있을까.

부산어묵, 구포국수, 동래파전, 기장미역, 기장멸치, 기장꼼장어, 가덕도대구 정도 일까 ?

하지만 사실 최근들어 부산을 대표하는 음식은 돼지국밥, 밀변, 어묵 정도가 아닐까 싶다.

모두 한국전쟁 피난시절 팔도의 맛이 섞여 발전한 음식들이다.

 

오늘은 그 중에서 부산 어묵이야기.

흔히 말하는 부산 3대 어묵은 삼진어묵, 미도어묵, 환공어묵인데 고래사어묵, 영진어묵, 효성어묵, 대원어묵도 유명하다. 최근들어 삼진어묵 고래사어묵이 타지에서 젤 유명한가 싶기도한 느낌도 들고(왜지? 백화점입점때문일까 싶기도....)

어린 시절 어묵매니아 사이에선 유명하던 이름인데 요즘 너무 가격도 이름값도 어묵스럽지 못하게 고급화되버린 느낌이 많다.

부산어묵은 사실 구포국수처럼 그 분야 전국 단연 최고로 꼽히던 제품이였지만 그 인지도는 최근들어 급증한 느낌이 없잖아 있다. 특히 S어묵의 창업주가 쓰러지고 유학 중이던 2세 경영과 마케팅이 대박나면서 비슷한 시기에 유명 어묵업체들이 어묵이란 트렌드를 선도하기 시작하면서 급 부산어묵의 유명세가 커진게 아닌가 싶다.

관련기사 링크

http://www.fnnews.com/news/201612011653504864

사실 어릴때부터 주변에 어묵사러 가면 저 집들 중 한곳이였는데 선호하는 곳이 다 다를 만큼 차이는 거의 없다고 본다. 음... 요즘엔 먹어본지가 좀 되긴했지만 뭐 어묵이 어묵이지 뭐 흠흠

개인적으로 추천할 어묵요리는 스지오뎅탕. 해운대 미나미가 유명하다.

 

 

삼성 SD / 마이크로 SD 카드

 

 삼성 EVO

삼성 EVO+ 

 삼성 PRO

삼성 PRO+ 

 타입

 TLC

TLC

MLC 

MLC 

 쓰기최대

 20MB/s

 20MB/s

 80MB/s

 90MB/s

 읽기 최대

 48MB/s

 80MB/s

 90MB/s

 95MB/s

 클래스

 U1

U1 

U3 

 U3

U1  ( UHS : Ultra High Speed) 대문자 U속에 숫자1 - 1초에 최소 10MB 이상 쓰기 보장

U3 - 1초에 최소 30MB 이상 쓰기 보장.

CLASS 10 - 최저보장속도 1초에 10MB이상 ( UHS가 신규격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