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기록

초보를 위한 취득세 계산식

취득세 계산 

 

위텍스 공시 취득세율 계산식

 

하지만 위의 6~9억 구간의 취득세 계산 설명을 아무리 보아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 

6~9억 구간의 정확한 취득세율 공식은 다음과 같다. (단, 반올림하여 소숫점 4자리까지)

 

6억초과-9억이하 취득세율 계산식

 

● 네이버에 취득세 계산이라고 치면 위텍스에 취득세 계산이 나온다. 농지여부, 다주택 여부와 면적85㎡초과 여부에 따라 변동이 있다. 

 

과세표준

과세표준(과표)이란 세금을 부과하는 금액을 말한다. 이는 월급같은 소득세를 계산하거나 할때도 쓰이는 세금 정할때 공통으로 쓰이는 용어이니 상식적으로 알아두는 것이 좋다.

 

취득세의 경우 취득가격이 과표가 되나 예를 들어 양도세의 경우 과표는 매도가격이 아닌 취득가액과 매도가격의 차액이 된다. 1억에 사서 1억에 팔면 양도세가 없다는 말이다. 1억에 사서 2억에 팔면 1억을 벌었는데 그 1억이 과표가 되고 1억에 세금종류에 따라 정해진 세율 30%든 40%든 과세를 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과표를 정할때 공제액과 인정비용을 차감해 주는 경우도 있으니 그 것만 추가적으로 알면된다. 예를 들어 1억에 대한 어떤 세금의 세율이 10%, 기본공제 천만원이고 경비까지 인정(관련세금,법무사비용등-여기서는5백만썼다고가정)해준다하면, 정확한  과표는 (1억-공제천만원-경비5백만) 8천5백만원이되고 세율이 10%므로 세금이 850만원으로 정해지는 것이다. 

 

연말정산으로 생각하면 총급여에 가족공제과 카드값등 경비를 차감해준 과세표준금액이 정해지고 정해진 세율을 계산하여 세금이 정해지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 초보를 위한 이야기

너무 당연한 이야기지만 최근에 세법이 세분화 되고 양도세등 부담이 커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부동산을 취득하거나 분양권 매매할때 내가 몇년을 있다가 매매할 것인지, 그때 예상 차익은 얼마가 되는지 양도세는 얼마가 되는지 미리 시물레이션해보아야 한다. 빛내서 좀 있다 팔면 얼마벌겠네 했다가 세금내고 나면 이자도 못건지는 경우는 없어야 하지 않는가.